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리액트팁2

React 에러 처리 완전정복|Error Boundary로 안전한 앱 만들기 (실전 예제 포함) 📘 리액트 스터디 시리즈 11편에러 처리와 에러 바운더리 완전정복|실전에서 필요한 예외 처리 기술여러분, 앱이 갑자기 뻗어버리는 경험 있으셨나요? 😵 실서비스에서는 사용자의 잘못된 입력, API 실패 등 다양한 상황에서 에러 처리가 매우 중요합니다.이번 편에서는 리액트에서의 에러 처리 방법과 에러 바운더리(Error Boundary)개념을 배워봅니다 🔐🔍 1. 에러는 언제 발생하나요?JS에서는 예외가 발생하면 try/catch로 잡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리액트 컴포넌트 내부의 렌더링 중 오류는 catch로 잡을 수 없습니다!try { // 일반 함수 에러는 잡힘 throw new Error("문제 발생!");} catch (e) { console.error("에러 잡힘:", e);}하지만 .. 2025. 7. 9.
React 토스트/스낵바 UX 가이드: 실시간 피드백 제대로 설계하는 방법 🔔 React 토스트/알림/스낵바 시스템 제대로 설계하기사용자가 어떤 행동을 했을 때,앱이 아무런 반응도 주지 않는다면 어떻게 느껴질까요?"클릭했는데 저장이 된 거야?""오류가 났다는데 왜 알려주지 않지?""작업이 성공했는지 실패했는지 모르겠어"이런 상황은 대부분 알림(feedback)이 부족해서 생깁니다.그중에서도 실시간 피드백 UI로 많이 쓰이는 게 바로 토스트(Toast), 알림(Alert), 스낵바(Snackbar)입니다.이번 글에서는 React 앱에서 토스트/알림 시스템을 어떻게 UX 좋게 설계할 수 있는지그리고 어떤 라이브러리를 쓰면 유지보수와 사용성이 좋은지 자세히 살펴볼게요.1. 토스트(Toast)란?토스트는 보통 화면 한쪽에서 짧게 떠올랐다 사라지는작고 가벼운 메시지 박스를 말합니다.✅.. 2025. 4.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