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리렌더링최적화3

React 고급 패턴: 동적 import + Suspense로 똑똑하게 코드 분리하기 🚀 동적 import와 Suspense의 고급 활용법React의 코드 스플리팅을 위한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React.lazy()와 Suspense 조합이에요.이전 글에서 살펴본 기본 구조는 다음과 같죠.const MyComponent = React.lazy(() => import('./MyComponent'));}> 이 방식은 아주 강력하고 간단하지만, 실제 프로젝트에서 더 유연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동적 import와 Suspense를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할 줄 알아야 합니다.이번 글에서는 React.lazy()의 한계를 넘어서,비동기 상황 대응, 조건부 렌더링, 중첩 Suspense, 모듈 레벨 import, fallback 최적화 등실전에서 유용한 고급 패턴들을 소개할게요.✅ 1. 조건부 동적 .. 2025. 4. 6.
React.memo + useCallback 조합으로 컴포넌트 리렌더링을 막아보자! 🧠 React.memo + useCallback 조합으로 컴포넌트 리렌더링을 막아보자!React 개발을 하다 보면 종종 이런 경험 해보셨을 거예요.“버튼 하나 눌렀을 뿐인데, 자식 컴포넌트가 자꾸 리렌더링돼요… 😫”그럴 때 사용하는 두 가지 무기! 바로 React.memo와 useCallback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이 둘을 언제, 왜, 어떻게 조합해서 써야 하는지를 쉽고 정확하게 알려드릴게요.🧩 기본 개념부터 다시 정리✅ React.memo함수형 컴포넌트를 메모이제이션해서, props가 바뀌지 않으면 리렌더링을 막는 고차 컴포넌트(HOC)입니다.✅ useCallback함수를 메모이제이션해서, 참조값(reference)이 변경되지 않도록 해주는 React 훅이에요.이 둘을 조합하면? 자식 컴포넌트에게.. 2025. 4. 5.
React.memo 완벽 정리: 컴포넌트 리렌더링을 막는 고급 최적화 기법 🚀 React.memo 완벽 정리: 컴포넌트 리렌더링을 막는 고급 최적화 기법React.memo는 React에서 제공하는 고차 컴포넌트(Higher-Order Component)입니다.컴포넌트의 props가 바뀌지 않으면, 해당 컴포넌트를 리렌더링하지 않도록 만들어줍니다.즉, 불필요한 렌더링을 방지하여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는 도구예요.하지만 언제, 왜, 어떻게 써야 할지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오히려 디버깅이 어려운 코드가 될 수도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React.memo의 개념, 사용법, 작동 원리, 주의점까지 심도 있게 정리해봅니다.🔍 React.memo란?React.memo는 함수형 컴포넌트를 메모이제이션(memoization)하여, props가 변경되지 않는 한 컴포넌트를 다시 렌더링하지.. 2025. 4.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