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인 알고싶어

엑시 인피니티의 몰락과 재도약|2025년 현재, 다시 보는 엑시의 미래

by 아빠고미 2025. 5. 11.
반응형

엑시 인피니티의 몰락과 재도약|2025년 현재, 다시 보는 엑시의 미래

📉💡 엑시 인피니티 완전 정복 시리즈 2부


1. 전성기 이후의 그림자

🌅 꿈 같았던 2021년, 그러나 너무 빠르게 꺼진 열기

2021년, 엑시 인피니티는 전 세계를 휩쓸며 P2E의 대명사가 되었어요. 게임 유저가 곧 수익자라는 콘셉트, NFT와 토큰 보상의 결합은 수많은 신규 플레이어와 투자자를 불러모았죠.

엑시 인피니티의 몰락과 재도약|2025년 현재, 다시 보는 엑시의 미래

하지만 이 폭풍 같은 성장 이면엔 이미 붕괴의 불씨가 있었어요. 게임보다 수익 구조에 의존한 생태계, 그리고 신규 유저 유입에만 의존하는 토큰 시스템은 시간이 갈수록 위기를 키웠습니다.

📌 주요 문제는 다음과 같았어요:

  • 🎯 SLP의 무제한 발행 구조
  • 📉 AXS의 투기적 급등과 급락
  • 🧍 신규 유저 유입이 끊기자 보상 수익성 급감

결국 2022년 중반, 엑시 인피니티의 거품이 빠지기 시작합니다.


2. SLP 폭락: P2E 경제 모델의 붕괴

💔 ‘플레이하면 돈 번다’는 공식의 실패

엑시 인피니티의 핵심 수익 수단은 바로 SLP였죠. 이 토큰은 전투를 통해 획득되고, 엑시 브리딩에 사용됐어요. 하지만 문제는 SLP가 끝없이 발행</strong되었고, 이를 유저들이 매도</strong하는 구조였다는 점이에요.

  • ⏬ 2021년: SLP 가격 약 $0.36
  • ⏬ 2022년 중반: $0.01 이하 폭락
  • ⏬ 2023년: $0.003 수준까지 하락

유저는 계속해서 SLP를 얻고 팔지만, 이를 사는 사람은 없으니 가격은 계속 내려갑니다. 공급 과잉 + 수요 없음 = 붕괴.

“게임을 열심히 했는데도 수익이 마이너스예요...” “엑시를 사는 순간 손해라는 걸 이제야 알았어요.”

이런 반응은 P2E 전체의 신뢰를 흔드는 결과로 이어졌어요.


3. 해킹 사건: Ronin Bridge의 충격

🔓 믿었던 블록체인이 흔들리다

2022년 3월, Ronin 네트워크의 브릿지 해킹 사건은 엑시 인피니티 역사상 최악의 사건이었어요. 이더리움과 Ronin 사이 자산 전송을 담당하던 브릿지가 무려 $620M 해킹되며, 전 세계 커뮤니티를 충격에 빠뜨렸죠.

  • 💥 해킹 규모: 약 6억 2천만 달러
  • 👥 피해 유저 수: 수만 명 이상
  • 📉 사건 이후 AXS, SLP 가격 동반 급락

이 사건은 기술적 결함뿐만 아니라, 유저 신뢰 붕괴로 이어졌어요. Sky Mavis가 발 빠르게 대응하고 보상 방안을 발표했지만, 이미 손절하는 유저가 줄을 이었죠.


4. 게임성 부족에 대한 비판

🕹️ 게임인가, 채굴기인가?

초창기엔 유저들이 엑시의 귀여운 캐릭터에 매료되었지만, 시간이 갈수록 게임성 부족이 도마에 올랐습니다.

주요 비판:

  • 🔁 반복되는 단조로운 전투
  • 🧠 전략성 부족
  • 🧩 콘텐츠 다양성 미흡

유저들은 엑시를 “게임이 아닌 채굴기”로 보기 시작했고, 게임 본연의 재미가 부족하다는 비판은 커졌습니다.

이런 분위기에서 나온 말:

“엑시를 하면 게임이 아니라, 돈 계산기만 두드리게 돼요.” “심지어 요즘은 돈도 안 돼요.”

5. 탈출 러시: 시장 신뢰 붕괴

🏃‍♂️ 탈중앙화 커뮤니티의 이탈

SLP와 AXS 가격 폭락, 게임성에 대한 실망, 해킹 사건의 삼중고 속에서, 커뮤니티는 빠르게 무너졌습니다.

  • 📉 일일 활성 유저 수 급감
  • 📦 NFT 거래량 급감
  • 📉 엑시 가격 $300 → $3 이하 하락

그 결과, 엑시는 단기간에 ‘성공의 상징’에서 ‘버블의 아이콘’으로 전락했어요.

“처음엔 돈 벌려고 왔지만, 지금은 미련 없이 떠나요.” “여기 남은 사람은 진짜 팬뿐이에요.”

6. 엑시 팀의 반격 전략

🛠️ 위기 속의 대대적인 개편

Sky Mavis 팀은 엑시 인피니티 리부트를 선언하며, 새로운 생태계 전략을 공개합니다. 그 핵심은 게임성 강화 + 경제 구조 개편.

📌 핵심 전략:

  • Origins 런칭: 새로운 카드 전투 중심의 게임성
  • Homeland 베타 도입: 자원 채굴 + 마을 경영 접목
  • SLP 발행 조정: 인플레이션 억제
  • AXS 스테이킹 보상 강화: 장기 홀더 유도
  • Ronin 체인 외부 확장: 타 게임 유치

💡 단기 수익보단, 지속 가능한 생태계 전환에 초점을 맞추기 시작했어요.

7. Axie Origins의 반응과 효과

🧩 “이제 진짜 게임이 됐네”라는 반응을 이끌어낼 수 있을까?

Axie Origins는 기존 엑시 인피니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턴제 카드 전략 게임으로 등장했어요.

🎮 주요 변화:

  • 🎴 카드 기반 전투 시스템: 유저가 직접 스킬 카드를 선택하고 사용
  • 🌟 에너지 시스템 도입: 전략적 전투 가능
  • 🎨 시각적 개선: 그래픽 강화 및 전투 이펙트 개선
  • ⚔️ PvP 경쟁 시스템 강화: 시즌 기반 랭크전 도입

💬 유저 반응:

“예전 엑시는 그냥 클릭 게임이었는데, 이건 전략이 있어요!” “그래도 아직은 한계가 있긴 하네요. 더 다양성이 필요해요.”

Origins는 확실히 게임성 강화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냈고, 일부 유저를 다시 생태계로 복귀시켰어요.


8. Homeland: 전략과 시뮬레이션의 접목

🏡 엑시 월드를 만들어가는 재미

Homeland는 엑시 인피니티 유니버스 속에서 마을을 경영하고 자원을 채굴해, 엑시 생태계에 직접 기여하는 게임이에요.

🚧 게임 특징:

  • 🧱 자원 채집 → 아이템 제작 → 시장 판매
  • 👷 엑시 캐릭터를 노동자처럼 활용
  • 🏗️ 다양한 건물과 시스템 구축
  • 🪙 실질적인 보상과 NFT 활용

Homeland는 특히 시뮬레이션과 수익의 결합을 통해 GameFi 영역 확장에 중요한 실험이 되었죠.

📊 경제 시스템 구조:

자원 생산 → 아이템 제작 → 유저 간 거래 → 수수료 → AXS 수요 증가

이 구조는 엑시 생태계에 순환 구조를 도입하려는 시도로, 과거 SLP 일변도 보상 체계를 보완한 형태예요.


9. Web3 게이밍 시장 속 엑시의 현재 위치

🌐 한때 1등이었지만, 지금은 수많은 경쟁자 속 하나

2025년 현재, Web3 게임 시장은 엄청난 속도로 성장하고 있어요. 엑시 인피니티는 이 시장의 선구자였지만, 지금은 오히려 후발 주자에게 추월당한 느낌이 강합니다.

🚀 경쟁 GameFi 예시:

  • 🎮 Illuvium: AAA급 그래픽과 전략성 결합
  • 🐉 Big Time: MMO RPG + NFT 경제
  • ⚙️ Gala Games: 다양한 장르 + 자체 블록체인

이런 상황에서 엑시는 꾸준한 개선DAO 기반 운영이라는 강점을 무기로 재도약을 시도 중이에요.


10. AXS와 SLP의 회복 시도

📈 가격 반등? 아니면 유통 구조 개선?

엑시 생태계의 두 축인 AXSSLP는 여전히 유통량 관리와 가치 회복이 과제예요.

🔁 최근 시도들:

  • 📉 SLP 버닝 구조 확대: 브리딩 외 소각처 추가
  • 📦 AXS 유통 속도 조절: 팀·재단 물량 락업 연장
  • 🪙 Ronin DEX와 연동 강화: 유동성 공급 → 스테이킹 유도

이러한 시도는 일시적인 반등 효과를 보였지만, 아직까지는 게임 내 수요 부족이라는 구조적 한계를 완전히 극복하진 못했어요.


11. 엑시 커뮤니티의 부활 노력

💬 남은 팬들이 만드는 새로운 엑시 문화

많은 유저가 떠났지만, 진성 커뮤니티는 여전히 엑시를 지키고 있어요. 그들은 단순 수익이 아닌 Web3 실험 정신과 자율 운영에 의미를 두고 있어요.

👥 커뮤니티 활동 예시:

  • 📣 엑시 DAO 제안 및 투표 활성화
  • 📜 유저 주도 리그 개최
  • 🛠️ 콘텐츠 창작 지원 (만화, 아트, 동영상 등)
  • 🎓 엑시 교육 & 튜토리얼 제작

이러한 커뮤니티 기반 운영은 엑시 인피니티가 단순 게임을 넘어 지속 가능한 Web3 브랜드로 성장하는 데 중요한 자산이에요.


12. 엑시 인피니티의 의미와 교훈

🧠 단순한 성공과 실패를 넘어서

엑시 인피니티는 Web3 게임의 가장 화려한 성공 사례이자, 가장 극적인 실패 사례예요. 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건, 우리가 엑시를 통해 배운 GameFi의 본질</strong이에요.

✅ 엑시가 남긴 교훈

  • 🎯 게임성 없는 경제는 오래가지 못한다
  • 🔐 보안이 생태계 전체를 위협할 수 있다
  • 💸 리워드만큼 ‘순환 구조’가 중요하다
  • 🤝 커뮤니티는 가장 강한 자산이다

2025년, 우리는 여전히 GameFi 시대 초입에 있어요. 그리고 엑시는 그 초입에서 모두가 지켜본 대표주자로 기록될 겁니다.

13. Ronin 체인의 진화

🔗 엑시만의 사이드체인에서 Web3 허브로

엑시 인피니티는 이더리움의 느린 속도와 높은 수수료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Ronin Network라는 사이드체인을 자체 개발했어요.

하지만 2023년 이후 Ronin은 단순히 엑시 전용 체인을 넘어서 다양한 게임 프로젝트를 유치하는 GameFi 인프라로 성장 중이에요.

📌 주요 특징:

  • ⚡ 초당 수천 건의 트랜잭션 처리 (PoA 기반)
  • 🔐 해킹 이후 보안성 대폭 개선
  • 🌍 타 프로젝트 온보딩 (Pixels, Tribesters 등)
  • 🪙 RON 토큰 유동성 공급 및 스테이킹 구조 강화

Ronin은 이제 엑시 생태계를 넘어, Web3 게이밍 허브로 탈바꿈하고 있어요.


14. 엑시의 콘텐츠 확장 전략

🎨 게임을 넘어 브랜드로

엑시는 단지 게임이 아니라, 하나의 IP 브랜드로 성장하려는 시도를 지속하고 있어요. Sky Mavis는 엑시 캐릭터를 활용한 콘텐츠 제작을 유도하며, 2차 창작과 파생 콘텐츠에 힘을 실어주고 있어요.

💡 대표적인 시도들:

  • 📚 엑시 웹툰 연재
  • 🎥 엑시 애니메이션 단편 유튜브 공개
  • 🎨 커뮤니티 아티스트 지원 프로그램
  • 🎁 브랜드 굿즈 출시 (티셔츠, 피규어 등)

이는 단기 수익보단, 엑시를 하나의 캐릭터 문화로 확장하려는 전략이에요.


15. 글로벌 행사와 파트너십

🌍 엑시의 글로벌 브랜딩 강화

엑시는 커뮤니티 기반 게임의 특성을 살려, 글로벌 오프라인 행사e스포츠 이벤트에도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어요.

📆 주요 행사 예시:

  • 🏆 AxieCon: 엑시 글로벌 컨퍼런스
  • 🎮 Axie Infinity World Championship
  • 🤝 Binance, Animoca Brands와의 협업 파트너십

이러한 행사는 단순 유저 이벤트를 넘어서, Web3 산업과 커뮤니티를 연결하는 장으로도 기능하고 있어요.


16. 엑시의 미래 전략과 로드맵 (2025~)

🚀 “다시 시작이다”

2025년 현재, 엑시 팀은 다음과 같은 미래 전략을 공개하고 있어요:

  • 📱 모바일 최적화 & 글로벌 론칭 확대
  • 🧬 유전자 기반 엑시 진화 시스템 도입
  • 📦 DAO 완전 전환: 엑시 생태계 운영 권한 분산
  • 🌐 Ronin Layer 2 확장 준비

이 전략은 엑시가 단순히 살아남는 걸 넘어서, Web3 게이밍의 장기 주자로 남기 위한 장기적 포석이에요.


17. 결론 - 엑시는 사라지지 않았다

위기를 딛고 진화 중인 Web3 실험장

엑시 인피니티는 분명 가장 드라마틱한 코인 게임이자, 가장 강렬한 생태계의 흥망성쇠를 보여준 사례예요.

하지만 그만큼 지금까지도 살아 있고, 더 지속 가능한 모델로 거듭나기 위한 다양한 실험을 계속하고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주목할 가치가 있습니다.

엑시 인피니티는 끝나지 않았습니다. 그저 더 강해지고, 더 느려졌을 뿐입니다.
반응형